지난봄 우리를 힘들게 했던 봄 겨울의 미세먼지가 날씨가 서늘해지자 다시 찾아왔습니다. 겨울이 되면서 우리나라로 불어드는 편서풍은 중국의 산업화로 인한 미세먼지를 한껏 싣고 우리나라로 들어옵니다. 10월 21일 첫 미세먼지 예비 저감조치가 시행됐으니 올해에도 3한4미의 미세먼지 많은 하늘이 우리를 덮을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중국에서 불어오는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는 날이면 1급 발암물질로 알려진 라돈 또한 농도가 높아진다고하니 정말 이 나라를 떠야 하는 건 아닌지 걱정이 됩니다.
제가 어렸을 때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똑똑하고 고유 언어인 훌륭한 한글도 있기 때문에 100년 후엔 세계 1위 경제대국이 될 거라는 이야기를 굳건히 믿을 정도로 나라와 국민성에 대한 믿음이 있었습니다. 지금도 믿고만 싶은 대한민국의 저력, 하지만 대통령 시정연설에서 대놓고 양손을 들어 엑스자를 그리고 국감 때마다 소리 지르고 욕하기 바쁜 정치인들 덕에 한숨이 푹푹 쉬어집니다. 지금 중국이 턱밑까지 쫒아와 우리의 밥그릇을 위협하고 미세먼지는 어마어마하게 뿌려대도 우리나라는 제대로 항의도 하지 못하는 국력을 가지게 된 것 같아 너무 속 이상합니다. 차라리 미국과 중국의 패권전쟁으로 중국이 한번 팍 앉아 줬으면 하는 바람도 있네요. 우리나라도 국력이 세지고 중국이 따라오지 못할 초격차 기술력을 확보하여 우리의 좋은 공기를 마실 권리를 찾아 합니다.간절한 염원과 함께 우리는 미세먼지와 함께 뜨는 테마주를 알아봅시다.
웰크론, 오공, 케이엠, 에프티이엔이(상장폐지)
미세먼지 농도가 많다고 회사에 가지 않을 수는 없죠. 이에 가장 간편하게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마스크입니다. KF80, KF94 등급을 인증받은 마스크는 일회용으로 소비되는 품목으로 지속적인 구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스크를 만드는 업체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웰크론 (065950)
1월 2일 주가 2,840원
10월 23일 주가 3,530원
시총 959억 PER 16.5배
웰크론은 1992년 산업용 섬유사업으로 시작해 리빙사업, 소재사업, 극세사 클리너, 방산 소방사업, 위생용품, 에너지 플랜트 등 소재를 아우르는 그룹사입니다. 알려진 브랜드로는 예지미인, 세사리빙, 온리빙 등이 있습니다. 최근 가을철 미세먼지 시즌을 맞아 아이도 쓸 수 있는 소형 마스크를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K80 '케어 온 밸브 마스크'는 기능성을 살리면서 아동과 얼굴이 작은 성인이 편안하게 마스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제품이라고 하네요.
2 오공(045060 코스닥)
1월 2일 주가 3,175원
10월23일 주가 3,440원
시총 583억 , PER 7.68배
3 케이엠 ( 083550 코스닥)
1월 2일 주가 6,160원
10월 23일 주가 7,420원
시총 753억 PER 16.64배
케이엠은 1989년 9월에 설립, 반도체용 청정용품 및 의료용품 제조, 판매 주요 취급품목 : 와이퍼, PVC무진 장갑, 무진 복사용지 비닐장갑, 청정실용 종이, 방진복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최근 케이엠 제약에서는 신규 시설에 24억을 투자하여 생산설비를 늘렸습니다. 케이엠 헬스케어에서 가운과 거즈, 위생장갑, 마스크를 생산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마스크를 생산하는 케이엠 제약은 아직 두드러진 성과를 내지는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케이엠은 잘 나가도 계열 분리된 케이엠 제약의 PER는 -3.87배로 저평가되어있습니다. 세간의 주목을 받지 못해서인지 아니면 한발 발전할 기회를 노리고 시설투자에 24억 원을 쏟으며 움츠리고 있는 것인지 두고 봐야겠습니다.
에프티 이엔이는 올 5월 상장 폐지되었네요. 이러니 투자는 다시 봐도 꼼꼼한 기업분석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위닉스, 코웨이, 청호나이스, 대유 위니아, 하츠
우리나라에는 정말 다양한 공기청정기 업체들이 있습니다. 모두를 비교하면 좋겠지만 지면상 몇 가지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위닉스 (044340 코스닥)
1월 2일 주가 14,600원
10월 23일 주가 26,100원
위닉스히면 공기청정기일 만큼 위닉스의 대표 상품입니다. 공기청정기 제조 판매기업으로는 대장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계 4대 디자인상을 석권한 아름다운 공기청정기를 만들기로 위명합니다. 올 초부터 봄가을을 중심으로 주가가 증가하는 패턴이 강하게 보입니다. 올해 최고가가 27,850원이고 현재는 26,100원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2 웅진코웨이 (021240)
10월 23일 주가 89,400원
시총 6조 5,977억 PER 18.88배
3 위니아 딤채 (대유 위니아) (071460 코스닥)
10월 23일 주가
시총 1,014억 PER -6.98
4 하츠 ( 066130 코스닥)
1월 2일 주가 3,740원
10월 23일 주가 7,750원
하츠는 벽산 그룹 계열의 주방 후드 전문 제조 업체이다. 가정용 레인지 후드, 주택 환기 시스템, 소형 빌트인 기기, 청공 조기 등을 주력으로 만든다. 최근 필터가 필요 없는 주방 후드, 가스레인지 후드를 계발했고 아파트 및 강당의 열교환기를 생산하며 공기질 관리를 위한 공기청정기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계절성이 딱히 두드러지지 않는 10년 차트를 확인할 수 있네요. 주력상품이 공기청정기가 아니라서 그런가 봅니다. 세계 최초로 환기청정기 제품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참고로 공기청정기 브랜드별 판매량 점유율은 최근 1년간(2017.11~2018.10 판매량 기준) 공기청정기 시장은 삼성전자 블루스카이, LG전자 블루스카이, 위닉스 제로의 3파전이 치열했던 가운데, 삼성전자 블루스카이가 1위에 올랐다. 판매량 점유율은 40%. 퓨리 케어와 제로는 점유율이 각각 20%로 블루스카이와는 절반 정도 차이를 보였다고 합니다.
크린앤 사이언스, 성창오토텍
1 크린앤사이언스 (045520)
1월 2일 주가 12,750원
10월 23일 주가 29,550원
크린앤사이언스는 공기청정기 필터업체로 가을철 미세먼지 관련 뉴스가 나오면서 지난 1분기부터 매출이 급증하였습니다. 미세먼지 현상이 지속되면서 공기청정기 시장이 지속 성장하고 있으므로 가정용 공기청정기 필터 시장점유율의 약 70%를 차지하는 본사는 앞으로도 직접적인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하네요. 또한 필터 주기 단축으로 인한 필터 교체 수요가 늘게 될 가능성에 대비하여 지난 3월부터 약 180억 원 규모의 증설 투자를 진행하여 설비 투자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2 성창오토텍(080470)
1월 2일 주가 8,530원
10월 23일 주가 8,100원
성창오토텍은 수소차 관련주로도 알려져 있는데요. OEM(주문자 생산방식) 납품을 주로 하는 자동차 부품 제조회사로 한온 시스템, 현대모비스, 한국델파이, 만도를 비롯해 현대차, 기아차 미국법인 등에 납품하고 있다고 합니다. 에어필터, 클러스터 이오나이저, 인버터 등을 생산하는데 이 가운데 클러스터 이오나이저라는 제품이 수소경제와 연관 있다는 분석에 강세를 보인 것으로 보이며 클러스터 이오나이저는 공조(공기조절) 장치 내부에 이온 발생기를 장착해 에어컨 냄새 개선 및 실내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정화장치입니다. 소이 온들이 유해물질(암모니아)의 분자 중 H(수소분자)와 결합해 물(H2O)을 생성시키며 유해물질을 무독성의 물질로 변환시킨다고 합니다. 2019년 1분기 매출액이 316억(+7.2%) 상승하며 영업이익이 0.6억 흑자전환하였습니다.
미세먼지 관련주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전체적으로 계절성을 띄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어떤 기업이 투자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는 하나하나 기업분석을 하여 선택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오늘도 성투하세요^0^
'주식공부 >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원시스 ( RIM 분석) 적정 주가 구하기 (0) | 2020.10.01 |
---|---|
[미국 주류] 잭슨 패밀리 와인, 캘리포니아 프리미엄 와인으로 한국 사로잡을 것 (0) | 2019.10.11 |
20191001 에이치엘비, 리보세라닙 임상3상에 성공, 개미들 200%수익 (0) | 2019.10.11 |
연말 한잔 하시죠? 술소비 증가 : 하이트 진로 (0) | 2019.10.09 |
20191007 [미래전망] 시각 콘텐츠에 피로를 느낀 현대인들이 청각 콘텐츠로도 관심을 돌릴것 (0) | 2019.10.07 |